会员登录 - 用户注册 - 设为메인 화면 - 선택 반전 - 사이트 지도 [김길원의 헬스노트] '35세이하 유방암'이 무서운 이유…반대쪽 발생위험 2.1배"!

[김길원의 헬스노트] '35세이하 유방암'이 무서운 이유…반대쪽 발생위험 2.1배"

시간:2024-03-28 17:46:03 출처:레인보우웨이브뉴스 작성자:여가 읽기:669次

[김길원의 헬스노트] '35세이하 유방암'이 무서운 이유…반대쪽 발생위험 2.1배"

김길원 기자
김길원 기자기자 페이지

서울아산병원, 유방암 환자 1만6천명 추적…"'젊은 나이'가 가장 큰 위험요인"

유방암
유방암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35세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는 그보다 높은 연령대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보다 반대쪽 유방암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유방외과 김희정 교수 연구팀은 1999∼2013년 한쪽 가슴에 유방암(비전이성)을 진단받고 수술받은 환자 1만6천251명을 35세 이하 그룹(1천318명)과 35세 초과 그룹(1만4천933명)으로 나눠 약 10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두편의 논문은 미국의학협회(AMA)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각각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 35세 이하 그룹과 35세 초과 그룹의 반대쪽 유방암 누적 발생률은 각각 7.1%, 2.9%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이런 통계치로 볼 때 35세 이하 연령대에 유방암을 처음 진단받아 수술한 후 반대쪽에 또다시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은 35세 초과 그룹에 견줘 2.1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유방암은 국내 여성 암 1위의 질환으로, 연간 약 3만명의 환자가 발생한다.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크게 '호르몬 수용체 양성', '호르몬 수용체 음성', 'HER2(인간표피성장인자 수용체2) 양성', '삼중음성 유방암' 등으로 나뉜다.

연구팀은 반대쪽 유방암의 발생률을 높이는 위험 요인으로 유방암 유전자(BRCA)의 돌연변이, 호르몬 수용체 음성과 HER2 양성 타입, 호르몬이나 유전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삼중음성 유방암 등을 꼽았다.

김희정 교수는 "반대쪽 유방암은 그 아형에 따라 발생 시기가 다른데,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및 HER2 양성 유방암, 삼중음성 유방암은 젊은 환자일수록 반대쪽의 유방암 발생이 일찍 보고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중에서도 난치성에 속하는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이 5∼10년 정도 장기간 항 호르몬치료를 시행하는 것과 달리, 3~6개월 만에 항암치료가 종료되는 게 반대쪽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원인일 수 있는 가능성이 거론됐다.

또 유전성 유방암의 대표적인 원인 유전자인 'BRCA 변이'는 젊은 나이에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특성이 반대쪽 유방암 발생 확률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됐다.

유전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환자의 약 5∼10% 정도를 차지하며, BRCA 변이가 있는 경우 평생 유방암이 발병할 확률은 약 55∼72%에 달한다.

유방건강 인식 향상을 위한 상징물 '핑크리본'
유방건강 인식 향상을 위한 상징물 '핑크리본'

[자료사진]

하지만 이보다도 유방암이 젊은 나이에 발생한 자체가 반대쪽 유방암 발생에 더 큰 위험 요인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김 교수는 "유방암을 진단받고 유방암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반대쪽 유방암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유전자 검사 결과와 무관하게 상대적으로 젊은 여성의 발생률이 약 1.7 배 정도 높게 분석됐다"며 "이는 젊은 나이의 유방암 발병 그 자체가 반대쪽 유방암 발생에 있어 매우 큰 위험 요인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반대쪽에 유방암이 다시 발생해도 전체적인 생존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최근 들어 유방암에 대한 표적치료 및 면역치료 등의 효과가 크게 좋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대쪽 유방암 발생에 대한 과도한 걱정으로 예방 차원의 유방 절제 수술을 성급히 시행하는 건 권고하지 않는다는 게 연구팀의 판단이다.

김희정 교수는 "반대쪽 유방암 발생이 있더라도 결국 환자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병했고, 반대쪽 발병 위험이 높다고 해도 선제적인 유방 절제수술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그 이후의 주기적인 검사가 더 추천된다"고 말했다.

bio

(책임편집:백과)

추천 콘텐츠
  • ‘AI칩의 왕’ 젠슨 황 “삼성은 비범한 회사”...주가 6% 급등
  • 푸틴 “트럼프보다 예측 가능한 바이든 선호”
  • 미국 정부, 北 김정은 국무위워장 '해상 국경선' 발언 비판
  • 우크라 총사령관 동부 요충지 아우디이우카에서 철수 발표(종합)
  • 암·당뇨 막는 도우미, 옥시토신 건강론을 아시나요
  • 일본, 실패 1년만에 로켓 발사 성공…실패 우려해 지구관측위성 못 실어